요즘 같은 시기는 실거주자 분들이 집을 매수하기 좋은 타이밍으로 접어든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저는 투자자이지만 6.19 대책으로 인해 투자자들 보다는 실거주 위추로 부동산 시장이 변화를 꾀하고 있기때문입니다. 이번 LTV 역시 규제를 받게 되었는데요 오늘은 그의미와 계산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LTV 뜻
Loan to Value ratio 이며 쉽게 말하면 주택담보비율입니다.
담보인정비율이란, 은행이 부동산을 담보로 잡고 돈을 대출해줄때, 담보 물건의 실제 가치대비 대출금액 비율
LTV 계산 = (은행의 대출금액/담보 물건의 실제 가치) * 100 입니다.
쉽게 말씀드리자면 은행이 부동산에 대해 얼마만큼 대출을 해줄지 결정하는 규제요건입니다. 다시 말하면 만약 당사자가 10억원 짜리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받을 경우 해당 은행에서는 정해진 LTV가 60%라면 최대 6억까지밖에 대출이 안된다는 뜻입니다.
실제 담보 물건의 가치 및 시세는, 국세청의 기준시가 또는 국민은행 kb 부동산 시세, 감정평가등에 의해 정해지며, 그중 한가지만 사용하도록 금융감독원이 시세규정을 정해놓았습니다. 이는 은행은 손실을 최소하기 위해 현제 시세의 아파트 가격에 LTV 비율을 적용하여 대출가능 금액을 산정하는 규칙입니다.
이번 규제 변경 기준일의 경우 17년 7월 3일이후 실행이 되는 대출부터 적용되지만, 7/3일 이후에 실행되는 대출이더라도 7/3일 이전 금융사와 대출금액에 대한 상담 완료 및 대출 승인이 된 고객은 종전 기준적용이 가능하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실직 폐업 장기간 입원등으로 수입이 없어 대출금 상환이 어려운 경우 예외를 적용하여 종전 비율을 인정하기로 하였으니 참고 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렇게 오늘은 LTV 규제 변경과 그 기준을 알아 보았습니다. 점점 투자자들의 집사기는 어려워지는 시점이기도 합니다. 다만 실거주 차원에서 많은 분들이 좋은 정부 규제를 활용하여 또 좋은 생활 그리고 수익까지 챙길 수 있는 시대가 왔으면 좋겠다는 바램 입니다.
'01. 부동산 초읽기 > 3) 투자 초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택스 재산세 조회 납부 , 재산세 가산세 3% (0) | 2017.07.17 |
---|---|
꼭 알아야 하는 DTI 및 DTI 계산방법 쉽게 이해하기 (0) | 2017.07.14 |
초간단 부동산 등기부등본 열람 및 발급 방법 (0) | 2017.07.12 |
2분만에 부동산 등기부등본 보는법 (0) | 2017.07.09 |
6.19 부동산 정책과 17년 부동산 전망 (0) | 2017.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