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1. 부동산 초읽기 /3) 투자 초읽기

부동산 상식, 부동산 용적률 및 부동산 건폐율 쉽게알기

 

 

 

부동산 투자 또는 실거래를 하기전 많은 부동산 용어에 당황하곤 한답니다. 저도 첫 계약시 떨림과 설레임 그리고 약간의 두려움이 있었습니다. 그 이유는 당연히 처음이기 때문이지요. 생각해보면 처음부터 부동산 중계사님이 이끄시는데로 듣기만하고 계약서에 서명을 하기 보다는 잘 모르니 좀 알려달라는 식으로 접근하고 문구들을 하나하나 읽어 나가고 이해했던게 가장 좋았던것 같습니다.

 


 

부동산 용적률 건폐율

 

그중 부동산 건폐율과 용적률 이야기가 나오곤 하는데 도대체 이것이 뭐길래 부동산에 갈때마다 이야기가 나오는지 궁금하기도 해서 가까운 중계사님에게 문의도해보고 혼자 공부도 해봤습니다. 그래서 부동산 관련하여 용어를 익히고 이것이 무슨 상관이 있어 따라다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부동산 건폐율

 

건폐율이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물의 비율

[건폐율=건축면적/대지며녀적*100]

 

우선 건폐율은 수평면적을 제한한다는 이야기 입니다. 무슨 이야기인가 하면요 건폐율 = 쾌적성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건폐율이 낮다는 의미는 사업의 부지는 넓지만 아파트는 별로 안 짓게된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즉 쉽게 설명드리면 동간 (아파트 동과 동 거리) 거리가 넓으면 채광 및 통풍이 좋을것이고 나머지 부지의 부분이 녹지등 다른 환경적인 부분으로 채워진다고 볼수 있습니다. 그런데 건폐율이 낮다면 대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한다는 의미가 내포 되어 있습니다. 즉 건폐율이 높은 부동산소유가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건퍠율 규제 할때: 건축물의 밀집을 방지하고, 채광, 일광의 확보와 화재등의 안전비상시에 대비를 위함

 

 


 

부동산 용적률

 

용적률이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물의 연면적 비율

[용적률= 건축물연면적/대지면적 *100]

 

용적률은 수직면적을 제한한다는 이야기 입니다. 즉 건물의 각 층마다 바닥면적 크기를 합산한 값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단 주차용지, 지하, 주민공동시설, 건물대피공간 면적은 제외된답니다. 즉 용걱률이 높다면 대지면적보다 건축물을 높게 지을수 있고 많은 호실이 나올수 있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그럼 아무나 용적률과 건폐율을 마음껏 늘리고 줄일수 있는게 아니랍니다. 하기의 표를 보시면 용도지역별 건폐율과 용적율이 정해져 있기때문에 용도지역에 따라 건폐율과 용적률 적용이 가능하답니다. 따라서 용도지역에 따라 높이와 넓이를 제한 받게 되는데요, 단독주택 등을 매수 하시고 추후 재건축을 하실때 이런 부분에서 크게 수익이 좌우되기도 한답니다. 그러니 꼭 부동산을 매수하실때는 용도지역도 함께 따져 보셔야 한답니다.

 

 


 

오늘은 이렇게 부동산 용적률과 건폐율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부동산을 소유하실 분들이라면 한번쯤은 꼭들어봤을 용어들을 쉽게 정리해드리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저 뿐만 아니라 모든 분들이 투자 또는 실거주시 유용하게 알 수 있는 부동산 용어에 대해 정리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