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다시 고개를 슬슬 들어올리는 부동산 가격이 다시 뉴스와 기사를 통해서 언급이 되고있습니다. 8.2 부동산 정책과 부동산 비수기인 8월 무더운 여름이 지나고 이제 부동산 성수기인 가을로 접어들자 서서히 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기사가 연일 나오고 있습니다. 이렇게 쉽게 가라않지 않을것 같은 경기를 지켜보고 뿐만아니라 이와 함께 정부 정책도 알아간다며 좋은 시점을 찾아 좋은 물건을 공약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됩니다.
도시재생 뉴딜정책
오늘은 제목과 같이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쉽고 간단히 풀어보면 구도심 및 재개발이 필요하지만 지정이 되지 않은지역을 살펴보고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사업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즉 재개발과는 다른 주변의 도로, 공공편의 시설등 그리고 노후화된 주택 매입 후 수리르통한 공급을 시킬 수 있는 그런 정책 이라고 보면 됩니다.
뿐만아니라 재개발지역도 도시재생 뉴딜정책 사업에 포함이 되어있으며 전국 매년 100곳을 지정하고 5년동안은 500 곳을 지정 할 것이라고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즉 서민 및 고령층을 위한 좋은 정책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뿐만아니라 정부에서 돈을 지원하여 낡은 집을 수리하고 임대를 놓을때 임대금액의 제한을 주어 서민들의 주거 안정을 시키겠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매년 10조 씩 5년간 50조원이 투입되게 되며 개발사업등으로 기대가 늘어나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금액적으로 상당한 지원의 부동산 정책이라고 볼 수 있으며, 정부 및 LH, SH, HUG등 공기업이 뭉처 비용을 배분받고 개선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렇게 개선을 진행하게 되면 일자리 또한 창출되어 39만개의 일자리 창출이 기대되기도 하는 좋은 사업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도시재생 뉴딜사업 수혜지역
자세히 살펴보아야 하겠지만 역시 수도권지역인 서울 경기 인천등의 지역이 많이 진행되고 거론이 되고 있습니다. 현재 인천 남구 및 영등포 남양주 위주의 재개발 뉴타운에 어느정도 기반을 잡고 시행이 될것 같습니다. 우선 정부의 정책은 수도권에서의 시행으로 좋은 성과를 보일때 점점 외각으로 발전해가는 정책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니 서울 경기 수도권 지역에서 낡은 지역 위주로 살펴보시는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주요사헙 4가지는 1. 노후주거지와 노후 마을 개선, 2 매입 및 임차시 고령층 우대, 3. 매년 39만개 일자리 창출, 4. 임대주택 증가로 주거안정 등을 꼽을 수 있겠습니다. 이번 기회에 얼어 붙은 부동산 시장을 살려내고 저소득층 또는 내집마련의 기회를 만들수 있는 기반 및 정책을 통해 효과적인 주거안정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에서 포스팅을 마칩니다.
'01. 부동산 초읽기 > 3) 투자 초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상식 방향별 장단점 (낭향, 남동향, 남서향) (0) | 2017.10.01 |
---|---|
부동산 상식 전세가 하락 및 역전세 살펴보기 (0) | 2017.09.20 |
한번에 뚝딱! 국민임대주택 입주자격 알아보기 (0) | 2017.09.07 |
부동산 종합증명서 발급방법 (0) | 2017.09.06 |
아파트 매매시 취등록세 계산 및 계산기 (0) | 2017.09.05 |